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KDT59

[TIL] 8/28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REST API, HTTP 바디 1. 백엔드 돌아보기  클라이언트1) 진짜 사용자가 프론트엔드에 요청(프론트엔드는 사용자 입장에서 서버에게 받아오는 화면이 될 수 있음)2) 백엔드 입장에서는 프론트엔드가 하나의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수 있음 -> 클라이언트만이 서버는 아님, 요청하는 역할을 클라이언트라고 생각하면 됨-> 사용자/프론트 모두 서버에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요청하는 입장이 되면 클라이언트임 웹 서버정적 페이지에 대응 (화면과 내용/데이터 등의 변동이 없는 페이지)동적 페이지에 대한 처리는 직접 처리하지 않고,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전달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동적 페이지에 대응 (데이터 처리/연산을 통해 화면의 내용, 데이터가 변하는 페이지)필요한 데이터 연산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조회/수정/삭제에 대.. 2024. 8. 27.
[회고록] 2주차 회고록 2주차 목표: 배움과 기록을 성실히하기 📝 - Keep 👍 1. 좋은 순환(?) 생김 어쩌다보니 최근 몇개월간 아침에 자고 늦게 일어나기를 반복했다. 패턴을 돌리고 건강해지기 위해 아침저녁으로 운동을 시작했다. 아침 운동을 위해 일찍 일어나기 -> 아침밥 챙겨먹기 -> 아침부터 공부하기 패턴이 생기면서, 아침이 활기차고 건강해지면서 공부하기 더 좋은 것 같다. 2. 절대 밀리지 않겠다 밀리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하루는 집중이 잘 되지 않아 조금 밀린 날도 있었지만, 다음날 밀린 공부와 정리를 모두 처리했다! 지금보다 공부가 어려워지면서 당연히 밀릴 수 있겠지만, 그래도 최대한 부지런떨면서 공부하고 싶다. 3. [TIL] 을 열심히 [TIL] 을 정리하다 보면 가끔 대충 쓰고 싶은 마음이 든다. (정리는 .. 2024. 8. 23.
[TIL] 8/23 데이터베이스, SQL, docker, mariadb, db연결, 프론트랑 백 연동하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데이터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의 집합체가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데이터를 구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중복을 막고, 효율적이고 빠른 데이터 연산을 가능하게 함 DBMS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Oracle, MySQL, MariaDBSQL (Stuctured Query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연산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화된 명령어(질의어)로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데이터 삽입: INSERT데이터 조회: SELECT데이터 수정: UPDATE데이터 삭제: DELETE데이터 생성: CREATE 도커 (Doker) .. 2024. 8. 23.
[TIL] 8/22 클라이언트-서버, Node.js, HTTP, request, reponse, URL, 라우터, 핸들러 백엔드 1. 웹 서버의 역할 정적 페이지-> 화면의 내용/데이터 등에 변동이 없는 페이지 (늘 같은 내용을 보여줌)-> 사용자와 상호작용 x, 데이터베이스와 소통 x 동적 페이지-> 데이터 퍼리/연산을 통해 화면의 내용/데이터가 변하는 페이지 -> 사용자와 상호작용 o, 데이터베이스와 소통 o 웹 서버(Web Server) 는 정적 페이지에 대해 대응하고, 동적 페이지에 대한 처리는 직접 처리하지 않고,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전달한다.   2. Node.js 란?Node.js 는 자바스크립트를 스크립트 언어 이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Node.js 를 이용해서 자바스크립트로 백엔드를 구현할 수 있음(플랫폼은 어떠한 것도 띄워 놓을 수 있는 운동장이라고 생각하면 됨) .. 2024. 8.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