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웹/TypeScript3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공부하기-1 1. 타입스크립트란?C# 의 창시자인 덴마크 출신의 개발자 앤더스 하일스버그(Anders Hejlsberg)가 만들었다. (그래서 C# 과 비슷하다고 함)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어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언어의 개발과 유지보수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창창한 언어자바스크립트는 유연하지만 그로인해 복잡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한계점이 존재했음 -> 그래서 타입스크립트가 탄생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에 타입 관련 기능들을 추가한 확장판 -> 타입이 까다롭지 않은 자바스크립트와 다르게 타입을 까다롭게 받기 때문에 더 안전하게 사용가능! 1.1. 타입 시스템? - 정적 타입 시스템코드 실행 이전 모든 변수의 타입을 고정적으로 결정 (변수 타입을 미리 결정)엄격하고 고정적C, JavaString a .. 2024. 11. 12.
[TypeScript/타입스크립트] 기본 문법 정리 -2 리터럴 타입 var 또는 let 으로 변수를 선언할 경우 이 변수의 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을 컴파일러에게 알린다. 반면, const 로 변수를 선언하게 되면 TypeScript 에게 이 객체는 절대 변경되지 않음을 알린다. 그렇기 때문에 const 로 선언된 변수는 number, string 과 같은 기본 타입이 아닌 변수 값 자체가 타입이 되는데, 이것을 리터럴 타입이라고 부른다. 각 리터럴 타입은 number, string 같은 더 큰 타입에 포함된다. const name = 'codeit'; // 'codeit' 이라는 리터럴 타입const rank = 1; // 1 이라는 리터럴 타입   타입 별칭 타입 별칭은 복잡한 타입에 이름을 붙여 재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타입 별칭은 type 뒤에.. 2024. 6. 19.
[TypeScript/타입스크립트] 기본 문법 정리 -1 이번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타입스크립트를 처음 써봤다. 대충 구글링하면서 프로젝트 진행 중이긴한데, 제대로 공부하고 싶어서 강의 들으면서 기본부터 정리해보려고 한다.  JavaScript & TypeScript 1. 정적 타입 vs 동적 타입자바스크립트: 동적 타입 언어로 변수의 타입이 런타임에 결정된다.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연하지만 타입 관련 오류가 런타임에 발생할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 정적 타입 언어로 변수의 타입이 컴파일 타임에 결정된다. 타입을 명시할 수 있으며, 타입 추론을 통해 코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타입 관련 오류를 컴파일 단계에서 잡아낼 수 있어 자바스크립트보다 타입 오류 잡기가 쉽다. 2. 컴파일링자바스크립트: 인터프리터 언어로, 코드를 작성하면 브라우저나 No.. 2024. 6.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