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ost2

[TIL] 9/4 GET, POST, API, postman 1. POST POST -> 생성(=등록)할 때 사용하는 method ex) 회원가입 = 나 등록해줘 => id, password, name, email, contact 그렇다면, GET 메소드의 URL 로도 정보를 보낼 수 있지 않나? X-> post 로 보내는 정보들은 등록을 위한 정보들이 많다. 근데 등록을 위한 정보들은 개인정보들이 많기 때문에 공개적인 URL 로 보낼 수 없다. HTTP 바디에 숨겨서 보내야 한다. api 가 POST 로 요청한다는 것은 바디에 데이터가 숨겨져서 들어온다는 것이고 웹 브라우저는 이것을 이미 알고 있다.  그렇다면 웹 브라우저 POST 테스트는 어떻게 해야할까? 안타깝지만 웹 브라우저로 POST 테스트는 할 수 없다. 그래서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postman 이.. 2024. 9. 4.
[React+JS/리액트] 웹 스터디 6주차 컴포넌트의 Lifecycle 과 useEffect - 1 useEffect() 나 componentDidMount() 같은 함수를 쓰기 위해서는 컴포넌트의 lifecycle 을 알아야 한다. 컴포넌트의 인생을 알아야 컴포넌트 인생 중간에 간섭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포넌트의 인생은 3가지로 나뉜다.1. 생성 (mount)2. 재렌더링 (update)3. 삭제 (unmount) 컴포넌트의 인생에 간섭을 하려면 'Hook' 이라는 걸 달아야 한다. 훅 안에 실행할 코드를 넣으면 mount / update / unmount 시에 코드를 실행해주는데 Lifecycle hook 이라고 부른다.   옛날 리액트에서 Lifecycle hook 쓰는 법  예전 class 문법으로 컴포넌트를 만들 때, 안에 함수명.. 2024. 6.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