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공부하고 정리해논 웹 지식사전

[Web/웹] 웹 기초 지식

by 보먀 2024. 5. 10.
728x90
반응형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소통하는 원리

 

  • Server: 서비스를 제공
  • Client: 서비스를 요청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역할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나의 컴퓨터도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서버가 될 수 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 이미지, 오디오 등 리소스의 위치를 가리키는 문자열로 쉽게 말해 웹 주소 또는 링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Scheme ( = Protocol)

스킴은 어떤 방식으로 서버와 소통하고 싶은지를 나타내는 프로토콜, 즉 통신 규약이다. 

많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http, https, ftp 등이 있는데 웹에서는 보통 http 와 https 를 많이 사용한다.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만든 통신 규약

-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의 보안 강화 버전으로 요즘은 거의 이 프로토콜을 사용

 

 

Domain

도메인은 www.naver.com, www.google.ac.kr 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도메인 이름은  Sub domain, Secondary domain, Top-Level domain 으로 나뉜다.

 

www.naver.com

 

- www: 호스트명 (Sub domain)

- naver: 도메인 이름

- com: 최상위 도메인 (Top-Level domain)

 

 

IP (Internet Protocol)

도메인과 더불어 IP 라는 것이 있다. IP 는 통신에 필요한 고유 주소를 말하며 0~255 사이인 4개의 숫자와 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서버이다.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검색하면 DNS 서버가 요청된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돌려주고,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가 해당 IP 주소로 연결을 시도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Port

포트 번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번호이다. IP 주소가 목적지를 식별한다면, 포트번호는 목적지에 도달한 후에 특정 서비스를 식별한다. HTTP 의 경우 80, HTTPS 의 경우는 443 을 사용한다. URL 에서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Path

파일의 경로를 가리키며, / 뒤에 나온다. 컴퓨터의 폴더와 비슷한 개념이다.

https://everydayc0ding.tistory.com/category/%EC%9B%B9

 

 

Parameter

쿼리 스트링이라고도 라며, key = value 형태로 이루어진다. ? 뒤에 나열되고 & 기호로 구분되어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https://comic.naver.com/webtoon/list?titleId=805702

 

 

 

Anchor

프래그먼트(Fragment), 해시태그(Hashtag) 라고도 부르며, HTML 문서 내에서 다른 웹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동일한 페이지 내에서 특정 위치로 스크롤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이다. 주로 하이퍼링크를 만들거나 페이지 내부에서 이동할 때 사용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