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73 [React & TypeScript] Debounce, useDebounce 커스텀 훅 만들기 Debounce 란?이벤트가 연달아 터질 때 실행을 잠깐 지연시키는 것더 자세히 말하면, 마지막 이벤트 뒤로 일정 시간 동안 더 이상 이벤트가 안 오면 그때 한 번만 실행시키는 것을 말함 그렇다면 이런 건 왜 사용할까?-> 짧은 시간동안 함수가 수십 번 불리면 불필요한 호출이 많아짐->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연산 낭비가 심해지고 깔끔하지 못한 UX 가 만들어지게 됨 예를 들어 검색창 자동완성 기능을 만든다고 했을 때사용자가 검색창에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API 를 호출한다면 어떻게 되는지 생각해보자. "apple" 을 치는 동안 5번의 API 요청을 하게 됨. a -> API 요청p -> API 요청p -> API 요청l -> API 요청e -> API 요청 계속해서 요청을 보내는 것 보다는 잠깐 기다렸다.. 2025. 11. 24. [Git] git stash 상황) 1. 원격 레포지토리의 week3 브랜치에 push2. push 후 코드를 건드려서 변경된 코드들이 생김3. 변경사항이 생긴 상태로 원격 레포지토리에서 week4 브랜치를 받아와서 git checkout week4 명령어를 실행-> 2번의 변경된 코드들을 commit 하라는 메세지와 함께 checkout 되지 않음4. 가물가물 하지만 한두번 써봤던 기억을 되살려서 냅다 git stash 명령어 사용 후 git checkout week4 로 브랜치 변경 문제발생) week3 하위 폴더의 작업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할 일이 생겨서 복사해가려고 들어갔더니,???? node_modules 폴더만 남아있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git stash 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서 변경된 코드들이 사라진 것... 2025. 10. 9. [React & TypeScript] form 태그 onSubmit 제출 안될 땐 noValidate를 붙여보자 먼저 noValidate 란?HTML 태그의 속성으로 브라우저의 기본 폼 유효성 검사(Validation)를 끄는 역할을 한다. 기본 동작HTML 은 에 아래의 제약이 걸려있으면 값이 조건에 맞지 않을 때 브라우저가 폼 제출 자체를 막는다. - required- pattern- type='email' - type='number' noValidate를 붙이면 브라우저가 이런 HTML5 유효성 검사를 아예 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약이 걸려있어도 onSubmit을 무조건 실행하게 된다. 실제 서비스에서 유효성 검증은 React/JS에서 직접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태그에 noValidate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저장 2025. 8. 10. [TypeScript] 유틸리티 타입 Partial Partial 타입이란? - 특정 타입의 부분 집합을 만족하는 타입을 정의할 수 있음 어떤 제네릭 타입 T를 돌면서 P가 제네릭 타입 T에 존재하면 속성으로 넣음 -> 제네릭 타입의 일부 속성만 가진 새로운 타입이 만들어짐type Partial = { [P in keyof T]?: T[P];}; 예를 들어,개인정보 수정 화면에서 기존의 개인정보데이터를 originalData 새롭게 수정된 데이터를 editData로 정해놨을 때 patch 리퀘스트를 보내려하면 originalDat와 editData를 비교해서 변경된 부분만 patch 리퀘스트에 실어서 보낼 일이 생기는데 이런 경우 타입 안정성을 지키기 위해 유용하게 쓸 수 있다.type Info = { name: string; age: numbe.. 2025. 8. 10. 이전 1 2 3 4 ··· 44 다음 728x90 반응형